티스토리 뷰
목차
안녕하세요, 7월 29일(화) 기준으로, 오늘도 최신 미국 증시 및 글로벌 금융·경제 조건을 풍부한 데이터와 심층적 해설과 함께 종합해 소개합니다.
1. 주요 지수 현황
2025년 7월 29일, 미국 뉴욕증시는 미국-EU 무역협상 타결 발표 및 대형 IT 기업들의 실적 기대감을 중심으로 혼조세를 나타냈습니다. 다우존스는 장중 한때 연중 최고치에 도전했지만 마감은 약보합, 그러나 S&P 500과 나스닥은 전날에 이어 연속적으로 사상 최고가를 경신했습니다. 이번 주에는 메타·마이크로소프트(30일)/애플·아마존(31일) 등 대형 기술기업의 분기 실적이 예정되어 있어 선반영된 기대감이 지수 강세로 이어진 모습입니다.
- 미국-EU 무역갈등 완화: 일부 품목 관세율을 15%로 통일, 불확실성 해소로 투자심리 개선
- 빅테크 실적 기대감: 애널리스트들이 주요 IT 대기업의 실적이 시장 예상치를 상회할 것이란 전망 확산
- 향후 경계심: 연준(미국 중앙은행)의 7월 정책회의, GDP·고용지표 발표를 앞둔 조심스러운 분위기
주요 지수 | 29일 종가 | 일간 변동률 | 주된 변동 원인 |
---|---|---|---|
다우존스 | 41,560 | +0.17% | 무역 완화 및 일부 경제지표 혼조, 고점 부담감 |
S&P500 | 5,745 | +0.17% | IT 대형주 실적 기대, 위험선호 심리 유지 |
나스닥종합 | 19,360 | +0.40% | 기술주 실적 랠리, 성장 기대감, 실물 경제 우려 상존 |
2. 채권 시장 현황
미국 국채금리
금일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는 4.41%로 전일 대비 소폭 하락했습니다. 단기물(2년) 3.91%, 장기물(30년)은 4.92%로 각각 등락을 보이고 있습니다. 이는 연준 FOMC 회의를 하루 앞두고 시장이 관망세임을 보여줍니다.
- 무역 갈등 완화로 인한 위험선호 심리 회복
- 연준회의 앞둔 대기모드, 연내 인하 기대 지속
- 주택지표·소매판매 등 경기선행지수 둔화로 금리 상승 탄력 제한
- 수익률 곡선 역전 지속은 경기 둔화 우려 반영
만기 | 29일 금리(%) | 전일 대비 | 주요 해설 |
---|---|---|---|
2년물 | 3.91 | 보합 | FOMC 앞두고 관망세 |
10년물 | 4.41 | -0.03 | 무역완화, 경기 둔화 우려 상존 |
30년물 | 4.92 | +0.01 | 장기 경기 및 부채 증가 우려 반영 |
주요국 10년물 국채금리 현황
국가 | 금리(%) | 최근 변화와 이슈 |
---|---|---|
미국 | 4.41 | 무역합의 낙관, FOMC 대기 |
독일 | 2.67 | ECB 정책 회의 앞두고 소폭 하락 |
영국 | 4.65 | 인플레이션 완화+정치 불확실성(총선 여진) |
일본 | 1.60 | BOJ 완화정책 장기화와 수급 불균형 |
한국 | 2.85 | 금리 동결+수출 회복 기대 |
캐나다 | 3.55 | 원자재 가격 효과, 중앙은행 긴축 신호 혼재 |
3. 외환 시장 현황
최근 환율 변동성은 무역정책 뉴스와 각국 중앙은행 정책 변화로 확대되고 있습니다.
달러인덱스(USD)는 104선 내외 등락, 유로화는 유럽 경기 부진 등으로 보합세, 엔화는 위험선호/안전자산 선호 움직임에 따라 변화, 원화는 달러 강세 및 수출 기대감 혼재 상황입니다.
7/21 | 7/22 | 7/23 | 7/24 | 7/25 | |
---|---|---|---|---|---|
EUR/USD | 1.1705 | 1.1749 | 1.1748 | 1.1765 | 1.1730 |
USD/JPY | 147.27 | 146.36 | 146.55 | 146.92 | 147.77 |
GBP/USD | 1.3498 | 1.3522 | 1.3566 | 1.3524 | 1.3429 |
USD/KRW | 1381.22 | 1381.58 | 1375.38 | 1371.00 | 1382.92 |
USD/CAD | 1.3689 | 1.3615 | 1.3609 | 1.3643 | 1.3714 |
- 무역정책 뉴스(미국-EU 합의, 미-중 상황 등)
- 중앙은행 기준금리 및 정책 방향
- 경기선행지수·국가별 경기 불확실성 등 요인
위 표를 선그래프로 표현하면 각 통화별로 큰 급등락 없이 미세조정이 반복되는 것을 시각화할 수 있습니다.
4. 거시 경제 현황
- 6월 컨퍼런스보드 선행지수(LEI): 98.8(전월 대비 -0.3%), 최근 6개월 누적 -2.8%. 제조업 신규주문·소비자심리 약화 영향
- 2025년 2분기 GDP 속보치(예상): 전기 대비 +1.6% 내외로 점진적 완만 성장. 소비지표 및 제조업 회복세 둔화 반영
- 주택시장: 신규주택 판매는 전월 대비 감소. 금리부담·수요 둔화 영향
- 노동시장: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 6주 연속 증가. 고용 지표의 둔화세
시장 강세에도 불구하고 실물경제는 둔화신호가 있다. 소비·주택거래 침체, 미중 불확실성 등 하반기 리스크는 계속 존재함.
5. 원자재 현황
7월 하순 주요 원자재 가격 변동 현황을 표로 요약합니다.
품목 | 가격(단위) | 일간 변동률 | 특징 및 원인 |
---|---|---|---|
WTI유 | $66.79/bbl | +0.13% | 미-EU 무역합의 반영, 러-우크라이나 이슈 완화 전망 등 |
금 | $3,318.74/oz | +0.12% | 강달러 영향, 지정학·경기 불안으로 안전자산 선호 |
은 | $38.15/oz | -0.07% | 산업수요·금융 불확실성에 혼조 |
구리 | $5.58/lb | -0.26% | 중국 성장둔화 우려, 산업수요 기대 |
대두 | $985.88/bushel | -0.29% | 미국 산지 기상 변수, 수출 전망 하락세 |
- 국제유가: 지정학 완화, 원유재고 감소 영향으로 소폭 반등
- 금/은: 안전자산 수요와 실물 투자 심리 혼재
- 구리/대두: 글로벌 수요·공급 및 중국, 미국 등 주요국 경기 전망 따라 등락
6. 주요 기업 동향
- 빅테크 실적 시즌: 메타, MS(30일), 애플, 아마존(31일) 실적 앞두고 기대 고조
- 메타: 광고 매출 성장, AI 신사업 기대
- 마이크로소프트: 클라우드/AI 성장, 달러 강세로 해외 실적 영향 가능성
- 애플·아마존: 신제품 출시 전망, 전자상거래/클라우드 시장 동향 주시
- 삼성전자: 테슬라와 165억 달러 규모 반도체 공급 계약(추정), 반도체 업종 주가 동반 강세
- 보잉: 2분기 실적 예상치 상회, 적자폭 축소(전년동기 대비 47% 개선)
7. 주요 경제 이슈
- 미국-EU 무역협상 타결: 자동차·농산물 등 관세 15%로 완화, 교역 불확실성 완화로 투자심리 개선
- 연준 FOMC(7/30): 금리 동결 전망, 연내 금리인하 기대도 이어짐. 점도표·의장 발언이 시장 주목 포인트
- ECB·BOJ 등 주요국 통화정책: 글로벌 동시 정책회의로 금리·외환시장 변동성 확대
- 미·중 무역정책: 지정학 악재 완화 기대감, 구조적 위험은 여전
- 미국 부채한도/정책 리스크: 정치 이슈 지속, 예산안 합의 주시
8. 경기 전망
- IMF 등 국제기구: 미국 2025년 성장률 1.6% 내외, 점진적 완만둔화 전망
- 투자은행/애널리스트: 단기 무역합의로 상승세, 연준 금리 인하 시기와 실물 지표 반등이 중기 관건. 실적 시즌 결과 따라 시장 방향성 확대 예상
- 글로벌 금융사/유명 인사: 연준 7월 동결, 9~12월 중 인하 전환 관측. 하반기 소비·고용 회복 없다면 추가 조정도 가능
전망 핵심: 하반기 글로벌경제는 단기 호재(무역 완화, 실적 호조)와 중장기 불안(성장둔화, 금리 불확실성)이 공존. 주요 정책 이벤트와 기업 실적에 주목해야 할 시점입니다.
오늘 시장은 대형 불확실성이 일부 해소되었으나, 하반기 경기 둔화와 중앙은행의 향후 행보에 따라 추가 변동성 확대도 예상됩니다. 실적 시즌 결과 및 글로벌 통화정책을 주시해야 하는 시기입니다.